본문 바로가기

그땐 그랬었지

강경 장날.

 

 

1998년 10월 29일

 

양재역에 오전8시 집합.

15인승 봉고를 렌트해서(여기사분) 강경에 다녀왔다.

이 봉고차를 그 후에 두번 더 렌트해서 단골이 되었다.

 

그날의 목적은 강경이지만 근처의 개태사와 관촉사를 먼저 구경했다.

옛날 기억을 더듬어 보니 오빠들이 논산훈련소에 들어가 있을때

엄마따라 면회갔다 오는 길 무지무지 큰 돌 부처를 봤다는 생각이 들었다.

그게 바로 관촉사의 은진 미륵이였던가 보다.

 

개태사는 태조가 창건한 절로 여기는 철확(솥)이 유명하다.

철확은 절에서 쓰던 큰 솥으로 지름 3m, 높이 1m, 둘레 9.4m이며

절의 전성시에 장(醬)을 끓이는 그릇으로 사용하였다.

지금 같으면 솥만 찍어 올텐데 솥은 잘 안보이고 집과 사람만 보인다.

그나마 나는 보이지도 않는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관촉사 은진미륵

저 앞에서 열심히 절하시던 엄마가 생각난다.

 

 

 

 

 

다음은 강경 미내다리

(강경천의 채운교가 있는 강둑을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

시멘트로 만들어진 다리 옆으로 작은 미내다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.

전국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는 강경포구가 있던 곳으로,

 이 강을 ‘미내(渼奈)’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한 까닭에 ‘미내다리’라고 부릅니다.

강경미내다리(미내교, 渼奈橋, 충남 논산시 채운면 삼거리 541번지, 충남 유형문화재 제11호)는

강경천의 채운교가 있는 강둑을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 시멘트로 만들어진 다리가 놓여 있고,

 그 옆으로 다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.

전국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는 강경포구가 있던 이 곳에

긴 돌을 가지런히 쌓아 3칸의 무지개 모양를 만들고,

그 사이마다 정교하게 다듬은 돌을 가지런히 쌓아 올렸습니다.

다리의 강둑쪽 중간쯤에는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동물의 얼굴이 조각되어 있는데,

눈은 마치 장승의 눈과 같고, 코는 뭉툭하며, 얼굴 양옆으로 귀모양과 갈기가 있습니다--새전북신문에서)

 

 

 

 

 

지금은 위 사진처럼 잘 관리하고 있는가 보다

아래 사진에 우리가 갔을때는 잡초가 우거져서

이게 무슨 역사적 가치가 있을까 싶었던 그런 곳이였다.

 

 

 

 

 

우리 일행의 리더 윤이 엄마는

여행책에서 가는곳의 정보를 프린트하고 묶어서

우리들에게 나눠주고 차 타고 가는 동안 공부하게 만들었다.

지금은 스마트폰만 켜면 다~~나오는 정보들....

 

구경 다 하고 강경장에 풀어 놓고 시간을 주고 다시 모여보니

혼자 들고 갈수 없을만큼 장을 봐가지고 온 우리 일행들....

그래서 기사분은 우리 모두를 집근처까지 바래다 주고 가야했다.

나는 뭘 샀었나.....

낙지젓 한병 샀었나?

 

 

 

'그땐 그랬었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남해   (0) 2015.07.25
남춘천과 진천  (0) 2015.07.23
봉평에서 오대산까지....1998  (0) 2015.07.17
선암사...1998  (0) 2015.03.30
대청봉 오르기 그 후....  (0) 2015.03.21